일상다반사·사회·야사

미용실이 동네 한 집 건너 한 집인 이유 - 독점적 경쟁시장

학운 2016. 5. 31. 15:03
동네 주변을 둘러보면 유난히 눈에 띄는 가게들이 있습니다.
미용실, 식당, 작은 병원, 카센터 등이 바로 그것이죠.

독점적 경쟁시장이란?  

이처럼 작은 시장 범위, 즉 특정 소비집단 안에서 독점 효과를 내는 시장을 ‘독점적 경쟁시장’이라고 합니다.

독점적 경쟁시장에서 이들이 생산하는 품질은 서로 다르고(미용실마다 기술이 조금씩 다르다), 각 품질마다 소비자의 선호도가 다르며, 이에 따라 특정 소비집단이 형성됩니다.  생산자(미용실 주인)는 적어도 그
소비집단(단골고객)에 한해서는 일종의 ‘독점적 지위’를 가질 수 있지요.

하지만 같은 지역 안에서도 경쟁자들이 무수히 많으며 다른 경쟁자들이 쉽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독점적 지위는 견고한 것이 아니며 끊임없이 경쟁을 해야 합니다. 이런 시장을 ‘독점’과 ‘경쟁’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하여 ‘독점적 경쟁시장’이라고 한답니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우리가 주변에서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시장 형태입니다.
그렇다면 '독점적 경쟁시장'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특징 1. 공급자도 수요자도 많다!  다수의 시장참여자!
독점적 경쟁시장에는 공급자와 수요자가 매우 많습니다. 미용실 이용자(수요자)는 수천만 명이며, 미용실(공급자)도 한 동네에 많습니다. 
주유소, 음식점, 병원 등도 마찬가지로 무수히 많은 공급자와 수요자가 있지요.

특징 2. 문이 활짝! 진입장벽이 없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진입장벽이 없습니다.  미용실은 누구나 미용기술과 도구만 있다면 차릴 수 있어요. 동네에 미용실이 하나 더 생긴다고 기존 미용실들이 ‘제도적 제재’에 나서거나, 커트 ‘비용을 낮추어’ 시장진입을 막지는 않습니다. 주유소, 음식점도 이와 마찬가지죠. 병원도 비록 의사 면허증이 있어야 하지만, 기본적으로 어느 곳이든 마음 먹으면 개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입장벽이 없는 독점적 경쟁시장의 성격을 가집니다.

특징 3. 제품이 조금씩 다 다르다! 이질적 제품
독점적 경쟁시장의 기업은 시장 참여자가 매우 많고 진입장벽이 없기 때문에 치열한 경쟁에 노출됩니다. 그러나 무한경쟁에 직면하는 것은 아닌데, 이들의 제품이 각각 이질적이기 때문입니다. 음식점마다 메뉴와 맛, 인테리어,서비스가 다르고, 미용실마다 직원들의 솜씨와 개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서로 대체재가 될 수는 있지만 똑같은 상품은 아닌 것입니다. 소비자들은 기호에 따라 미용실을 선택하며, 미용실은 단골고객에게 독점력을 행사합니다.

특징 4. 가격을 마음대로 올리진 못해요! 제한적 가격결정권
독점적 경쟁시장의 기업은 수요자가 매우 많고, 이질적인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제한적인 독점력을 가집니다.  따라서 무한경쟁일 때보다 가격결정권이 크며 가격도 조금 비싸죠. 커트비가 2,000원이 더 비싸다며 고객 한 명이 오지 않더라도 미용실이 문을 닫는 것은 아니어서 그 미용실은 가격을 고수합니다.
하지만 경쟁자가 매우 많기 때문에 가격을 지나치게 높게 책정하면 고객을 잃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독점적 경쟁시장의 기업은 가격을 마음대로 올리지는 못하는, 제한적 가격결정권을 가지게 됩니다.

가격 경쟁 대신 서비스 경쟁

독점적 경쟁시장은 수요에 따라 가격이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수요가 많아졌다고 미용실 요금이 오르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수요가 가격에 비탄력적인 시장이라고 볼 수 있어요. 따라서 이 시장의 기업들은 가격경쟁보다 서비스 경쟁을 하며(영양이나 염색 서비스, 포인트카드 등), 좀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는 수요가 더 몰리고 그에 따른 초과이윤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독점적 경쟁시장의 기업은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초과이윤을 획득하려고 노력하게 되는 것입니다.